허브의 기능과 문제
배경지식
- 케이블에 T자 분배를 만드는 대신, 케이블을 허브에다 연결하면 케이블이 분배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 허브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는 동일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것하고 같은 취급을 받는다.
허브의 기능
-
신호의 증폭하고 재생합니다.
감쇠에 의해 붕괴된 신호를 본래의 형태로 증폭, 재생시킵니다.- 증폭만 하는 기계로, 리피터(Repeater)라는 것이 있습니다. 리피터는 케이블 사이에 연결하는 기계로 허브처럼 케이블을 많이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케이블을 많이 연결할 수 있는 허브 쪽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 신호를 증폭하고 재생하지 않는 허브도 존재합니다. 그런 허브는 패시브(passive) 허브라고 불립니다. 패시브 허브는 신호를 증폭시키지 않고 통과시키는 허브입니다. 신호를 증폭시키는 허브는 액티브(active) 허브라고 부릅니다.
-
복수의 기기를 연결해서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허브에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취급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끼리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됩니다.
컴퓨터 많아서 허브의 포트가 모자라다면, 허브와 허브를 연결해 포트를 늘리는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이를 연속 접속(cascade connection)이라 합니다.
허브의 문제: 플러딩으로 인한 도메인 충돌 가능성
허브를 중심으로 복수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네트워크가 형성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허브는 수신한 신호에 대해 (신호와 증폭과 재생을 제외하고) 어떠한 제어도 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허브는 수신한 포트 이외의 모든 포트에 수신한 신호를 송신합니다. 이를 플러딩(flooding)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같은 허브에 있는 컴퓨터가 동시에 신호를 송신할 경우 어딘가에서 신호가 부딪쳐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생깁니다. 이런 충돌이 발생할지도 모르는 범위를 충돌 도메인(collision domain)이라고 합니다. 즉, 이 충돌 도메인 안에 있는 컴퓨터가 신호를 송신하면 어딘가에서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때 허브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는 충돌 도메인에 있게 됩니다.
네트워크 연결에서 충돌은 막아야만 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충돌 도메인은 가능한 한 작아야 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요?
출처
- 책 <하루 3분 네트워크>
'프로그래밍-학습기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호를 전송할 때 일어나는 일 (0) | 2021.02.08 |
---|---|
OSI 참조모델에서 1계층의 역할 (0) | 2021.02.07 |